피부용 대면적 OCT 영상 시스템


송우섭   ||  한국광기술원 책임


*   본 내용은 송우섭 책임(☎ 062-605-9233, wsong@kopti.re.kr)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.

**   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IITP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.

I. 결과물 개요

개발목표시기 2025. 12. 기술성숙도(TRL) 개발 전 개발 후
결과물 형태 HW & SW 5 7
Keywords 광단층, 3차원, 대면적, 피부용, 영상
Optical coherence tomography, 3D, large area, skin, imaging

 


II. 기술의 개념 및 내용

1. 기술의 개념

본 기술을 노인 만성 피부 질환(족부궤양)의 최적화된 예방/치료/관리를 위해 인체 족부의 피부 내 조직/혈관을 메디컬 트윈화하여 인공지능으로 분석 및 진단을 가능하게 하는 피부용 대면적 3차원 광단층 영상 시스템 기술

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영상화하는 기술로 기준단과의 광 경로차를 이용하여 비침습적으로 피부 내 조직 영상 획득이 가능하며, 혈액 내 미세 입자 흐름에 의해 혈관영상이 가능

<자료> 한국광기술원 자체 작성

[그림 1] 기술개념도

2. 기술 특징

족부궤양(당뇨발) 진단용 대면적 스캔 기술(스캔 면적: 50×50mm2)

OCT 기반 피부 단층/혈관/산란정도 영상 추출 기술

족부궤양(당뇨발) 진단용 OCT 시스템 기술


3. 특허 동향

No. 국가 출원‧등록번호(출원일‧등록일) 상태 명칭
1 대한민국 10-1967518(2019.04.03.) 등록 피부 색소병변 제거율 진단장치 및 방법
2 대한민국 10-1651659(2016.08.22.) 등록 광간섭 단층촬영을 이용한 색소 병변의 정량화 시스템 및 방법

 


III. 국내외 기술 동향 및 경쟁력

1. 국내 기술 동향

당뇨병성 족부궤양은 하지의 신경병증 및 동맥경화성 말초혈관 질환과 관련된 당뇨병의 만성중증 합병증으로 미세혈관 이상과 함께 발생

당뇨병 환자는 미세혈관 질환 및 합병증을 유발 및 악화시킬 수 있는 비정상적인 피부 미세혈관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, 이에 대한 구조 및 기능을 시각화하고 정량화하는 도구가 없어 조기 진단에 어려움이 있음

당뇨병 환자의 피부 미세순환을 평가하기 위해 모세관현미경, 경피적 산소압평가, 레이저 도플러 유량계 및 레이저 도플러 영상화 방법 등이 제안되었으나, 피부 표피로 그 영역의 제한이 있고 모세혈관에 대한 정보 획득이 힘들며, 직접적이고 정량적인 평가를 제공하기 힘든 한계가 있음

OCT는 사람의 ~30um 이하의 작은 피부 미세혈관을 시각화하고 정량화 할 수 있는 비침습적 고해상도 광학이미징 기술로, 최근 기존 기술로는 시각화 및 정량화 할 수 없는 휴식 시와 생리적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피부 미세혈관 구조 및 기능의 정확한 정량화가 가능함을 보여줌[BMJ Open Diab Res Care. 8(1), 2020]


2. 경쟁기술 동향 및 현황

 


Ⅳ. 국내외 시장 동향 및 전망

1. 국내외 시장 동향

광간섭 단층 영상(Optical Coherence Tomography: OCT) 기기는 광의 간섭 현상을 이용하여 생체 조직 내부의 미세 구조를 높은 분해능으로 영상화 할 수 있는 진단 기기로 안과에서 가장 활발히 개발 및 이용되고 있음

인구가 노령화되면서 안과 질환, 당뇨 등의 만성환자가 증가하고 있어 그 수요가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으며, 관련 기술들이 발달하면서 응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어 의료기기뿐 아니라 검사기기 분야에서도 새로운 시장 기회로 작용할 가능성이 매우 큼

OCT 시장은 최근 새롭게 진입한 기업들이 사용 편리성, 특정 소비자에 특화된 제품, 기기의 호환성을 증대하는 등 소비자의 니즈에 대응해 나가면서 시장을 독점 시장에서 경쟁 시장으로 변화시키고 있음


2. 제품화 및 활용 분야

제품/서비스 제품 및 활용 분야 세부내용
피부조직, 혈관측정 OCT 시스템

- 대면적 스캔에 대한 기술 응용
- 반도체, 디스플레이 검사기술 응용
- OCT 기술의 타 의료 분야 활용

* 본 자료는 공공누리 제2유형 이용조건에 따라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의 자료를 활용하여 제작되었습니다.